information

2023년 서울시 맞춤형 1인가구 정책소개 : 이런것도 있었어 !?

모닝콜러 2023. 3. 17. 08:27
반응형

다른 어떤 지역보다 1인가구가 많은 도시가 서울시가 아닐까 싶다. 
서울시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이 2021년 기준 36.8%(149만 가구)가 된다고 한다. 
 
모든 문화, 정책의 중심 서울시에서는 1인가구에게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을지 한번 찾아보았다. 
 
서울특별시 공식 블로그를 통해 본 글에서는
1인가구가 는 불안을 해소하고 삶의질을 높일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올해 146억원을 투입하고 3개분야 12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고 한다. 

1. 불편해결

병원 안심동행 / 퇴원 후 일상회복 서비스/ 행복한밥상 , 건강한밥상/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2. 불안해소

안심마을 보안관 / 안심귀가 스카우트 / 안심귀가 택시 / 안심이 앱/ 안심장비 지원사업

3. 불만완화

자치구 1인가구 지원센터 개소 / 씽글벙글 경제교육 / 마주 봄 매니저
 
 
고령층이나 취약계층에게 주로 집중됬던 사업들이 1인가구라는 이름으로 포괄되어
복지혜택이 필요한 청년층에게도 국가의 복지혜택이 돌아갈수 있게되는 좋은 제도인것같아 
좋은것 같습니다. 
 
1인가구가 점차 늘어나는 시대에 발맞추어 서울시에서는 시류를 읽고
혼자 살아도 불편,불안, 불만이 없는 도시를 만들어 나가기위해 최선을 다하고있는 노력이 보이는 정책인것 같습니다. 
 
그럼 주요 정책을 하나씩 봐볼까요
 

하나, 불편해결

 

1.병원안심동행 서비스 확대 

이용대상 : 1인가구 - 누구나 이용가능
지원서비스 : 병원동행 - 퇴원후 집안정리 , 식사준비 등
이용방법 : 1인가구 누리집(1inseoul.go.kr)또는 유선전화(1533-1179)

 

2. 퇴원후 일상회복 서비스 이용조건 완화
(기존)병원안심동행서비스이용자 한정→(확대)미이용자도 가능

 

3. 행복한 밥상, 건강한밥상 확대
1인가구끼리 모여 소통하는 소셜 다이닝 프로그램 
중장년 1인가구대상 운영자치구 (기존)10개 →(확대)15개
(신규)청년 1인가구 대상  확대운영
4.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확대
주거 안심 매니저 상담통해 1인가구 안정적 주거 정착지원
(기존) 14개 자치구 →(확대)25개 자치구
둘, 불안해소

 
안심마을 보안관 순찬효율 강화 / 안심귀가 스카우트 효율적운영 / 안심귀가 택시운영
안심이 앱 기능강화 / 안심장비 지원사업 강화 등
 
1인가구의 불안해소를 위해 사업 및 기능을 강화하는 서울시의 노력이 돋보입니다. 
 
안심이앱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 통해서 다운받으실수 있습니다. 
 

셋, 불만완화
1. 자치구 1인가구 지원센터 활성화
1인가구 상담 멘토링 확대개편 / 씽글벙글 사랑방 4개소 →8개소 확대
2. 씽글벙글 경제교육 확대
전화금융사기 예방교육 추가/ 연령별 수준별 반 구성
3. 마주봄 매니저 찾아가는 생활안심 코디네이터 30명 운영
동년배 중장년 소소한 말벗되어주기~ 전문기관 연계까지 도움주는 생활 코디네이터

 
 
불편, 불안, 불만 3불 해소 라는 타이틀로 1인가구를 지원하는 서울시의 정책을 필두로
여러 시군에 정책이 생겨났으면 좋겠네요

반응형